‌방향성

‌예대 기숙사 설문을 통해 발견된 공간속에서 사람들의 문제인 프라이버시와 소통이라는 문제를 조화를 통해 풀면서 기숙사 가구내의 문제점를  해결하여 개선

‌Design Concept

‌공간적 요소를 분석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또한 룸메이트와 소통할 수 있도록  가구의 모듈을 새롭게 제안하여 보안한다.3가지 공간적 요소를 합하고 모듈화 하여 기숙사내 필수 가구들에 적용하여 실용적 구조로 변환한다.

공간 가구
‌공간분석

기존 서울예술대학교의 기숙사를 실측하여 실제와 똑같은 3D 형태로 제작후 3가지고 나누어 공간을 분석 하였으며 
‌분석한 공간을 모듈화하여 가구에 대입하여 실제 기성가구 사이즈에 맞추어 변형하였다.  
‌가구의 역할은 기존의 기능뿐만 아니라  예대 기숙사의 문제였던 2인1실의 프라이버시의 문제점을  보안하였다.

사용이 효율적이지 못한 공간

‌반을 기준으로 나누었을때 가로와세로 의 모듈이 있다. 가로로 되어있는 모듈은 침대이다. 침대는 좁은 공간에 비해 침대 하나의 기능만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세로로 되어있는 옷장의 한쪽 부분은 침대의 길이로 인하여 문이 열리지 않는다.  효율적이지 못한 부분들을 삭제하고 한가지의 가구가 여러기능을 할 수 있도록 추가한 가구로 제안한다. 

거리적 제한으로 인해 사용되지 못하는 공간

2인 1실이라는 공간적 제약속에서 중간부와 천장부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좁은 공간 안에서 효율적인 공간 창출을 위해서 사공간을 분석하여 모듈화 시켜 다기능 가구로 변형하여 공간속에 대입한다. 

기존 가구로 인해 사용되 못하는공간

‌공간이 비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적합한 가구 사용으로 인하여  사용가능한 공간이 사공간이 되고 있다. 기존에  배치된 가구를 부피와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에 용이하기에 변형한다. 

다기능 가구

모듈화 된 공간을 가구로 변형


‌concep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