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제주도 교통 개편을 통해 스마트 전자 시스템(와이파이, 버스카드잔액조회기, 휴대폰 충전, 버스 위치 안내)등이제주도 버스 정류장에 많이 도입되었다. 이 점을 활용하여 개인 자가용 없이 다니기에는 불편했던 제주도의 관광지를 제주도 버스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활용하여 디자인을 통해서 활용도 높은 대중교통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주도 지역적 특성상 바람으로 인한 역풍으로 표지판이나 기둥 형식으로 세워져 있는 각각의 공공 시설물들이 파손되는 일 많다. 이점을 보안하고자 구멍이 있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돌인 현무암을 모티브로 하여 바람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였다.
또 역풍으로 인한 강한 바람을 순환풍으로 만들어 풍력을 이용하여 태영열과 함께 작은 에너지 생산을 할 수 있는 기능에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제주도 파도의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파도의 방향성을 분석하여 수직적 구조와 수평적 구조의 형태를 이용하여 바람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에 더 욱이 용이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레드, 그린, 옐로우 , 블루 로 색을 구분 하여 제주도의 간선, 지선, 급행 ,관광지 버스 의 색상과 동일하게 정류장을 만들어 제주도 여행객 과 제주도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좀 더 편리하게 도와줄 수 있도록 하였다.